태양계 천체 중 가장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타이탄에서 신비한 구름이 발견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 측은 타이탄의 북극 위에 떠있는 미스터리한 구름의 모습을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타이탄은 '신비의 행성' 토성의 위성으로 지구를 제외하고 메탄과 에탄으로 이루어진 바다를 가진 유일한 천체다. 구름의 존재는 지난 2006년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의 탐사로 처음 밝혀졌으며 이번 사진 역시 카시니호의 작품이다.
그러나 구름이라고 해서 비와 눈을 내리는 다 같은 구름은 아니다. 타이탄의 구름은 메탄으로 이루어져 지구의 구름과는 많이 다르다. 연구에 참여한 나사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카리 앤더슨 박사는 "타이탄의 구름 존재는 과거에도 알려져 있었으나 주로 대기 저층에 생성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타이탄의 구름의 밀도가 매우 높고 높은 고도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타이탄 구름에 대한 연구결과는 최근에도 나왔다. 이달 초 네덜란드 국립 우주연구소등 공동연구팀은 북극 뿐 아니라 남극 하늘에서도 거대한 구름을 포착한 바 있다. 여름철 주로 남반구에서 목격되는 이 구름의 크기는 우리나라 면적의 무려 10배. 연구팀은 이 구름의 성분이 사이안화수소(hydrogen cyanide)로 타이탄 80km 상공 위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타이탄의 1년은 지구의 약 30년으로 매우 길며 계절은 7년마다 변한다. 타이탄의 북반구에 여름이 찾아오면 남반구는 어두운 겨울이 된다. 타이탄의 계절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카시니호의 주된 임무 중 하나다.
10종류의 희귀하고 신비한 구름사진
1. 진주운 ( nacreous clouds , 眞珠雲 )
고위도지방에서 대기의 상층부에 생기는 특이한 구름으로 진주모운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20∼30km이며, 견층운이나 렌즈구름과 모양이 비슷하나,
땅거미가 질 무렵 또는 새벽의 미명에 진주빛을 띠기 때문에 이렇게 일컫는다.
2.유방운(mammatus clouds)
운저(雲底)에서 하강 기류와 와류가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구름. 모양이 유방과 비슷하여 유방운이라고 부른다.
적란운의 경우 구름 속에 대량의 빗방울이나 눈 · 얼음 알갱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난류를 동반한 하강 기류가 발생할 수있다.
구름의 기류는 다수의 난류(소용돌이)를 가진 하강 기류, 구름 아래의 기류는 상승 기류 또는 구름보다 약한 하강 기류이기 때문에
구름의 바닥 부근에서 기류의 충돌이 일어나 구름의 난류가 혹 모양의 구름이되어 나타난다.
적란운과 그에 따른 구름에서 많이 보이지만, 그 이외의 구름에서도 난류가 있을 때 나타날 수도 있다.
3. 고적운 (Altocumulus Castelanus)
높쌘구름이라고도 한다. 기호 Ac. 물방울로 이루어지며, 2000∼7000m 높이에 나타난다. 작은 구름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늘어서 파상을 이루거나 양떼와 같이 뭉쳐 있다.
주로 백색인데, 일부는 암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적운이나 적란운에서 고적운으로 변하며, 고적운은 또 권적운·고층운·난층운·층적운 등으로 변한다.
고적운을 통해서 태양이나 달을 보면 광환현상(光環現象)인 무리[暈]가 보이는 일이 많으며, 일부가 채운(彩雲)이 되는 경우도 있다. 고적운에는
탑 모양·층 모양·렌즈 모양·송이 모양 등이 있어 변종이 많다.
4. 야광운 (夜光雲, noctilucent clouds)
노르웨이 ·알래스카 등지의 고위도지방에서 80km 부근의 높이에서 보이는 경우가 많은 밤에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모양은 권층운 또는 권적운과 비슷하다.
80 km 부근의 높이에서 보이는 경우가 많다. 진주모운(眞珠母雲)보다는 높은 구름이지만, 진주모운은 저녁 무렵부터 잠시 동안만 보이지만,
야광운은 훨씬 늦게까지 관찰된다. 빛깔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희고 엷게 퍼지며, 모양은 권층운 또는 권적운과 비슷하다.
야광운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는 빙정(氷晶)일 것이라는 설(說) 외에도, 지구에 발생원이 있는 화산의 분진일 것이라는 설, 또는 지구 대기 밖에
발생원이 있는 유성진(流星塵)에 의한다는 설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빙정설이 가장 유력하다.
5. 버섯구름(Mushroom cloud)
핵폭발이 일어날 때 생기는 버섯모양의 구름이다.
이 구름속에서는 적란운과 같이 천둥이 발생하거나 소나기가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비에는 방사성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핵폭발 때 거대한 버섯형 구름이 발생한 것에 연유하여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핵폭발로 생기는 강한 상승 기류에 따라 뭉게구름[積雲]이 발생하여
성층권 부근까지 상승하면 옆으로 퍼져서 버섯 모양으로 된다. 이 구름 속에서는 적란운(積亂雲)과 같이 천둥이 발생하거나 소나기가 쏟아지는 경우가 있다.
구름 속이나 이 구름에서 내리는 비에는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6. 켈빈 헬름홀츠 권운 (Cirrus Kelvin-Helmholtz)
거대한 쓰나미를 연상시키는 이 구름은 하층의 차가운 기류 위 따듯한 기류가 빠르게 이동할 때
성질이 다른 두 기류의 마찰 때문에 형성 된다고 한다.
실제 파도가 칠 때처럼 구름 윗부분이 앞쪽으로 쏠린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하는데 두 기류의 속도 차이가
너무 크면 경계면의 균형이 깨져 무작위로 난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거리는 매우 가까워야만 한다.
7.렌즈운(Lenticular Clouds)
렌즈구름(Lenticular cloud)은 높은 고도에서, 바람 방향에 직각으로 정렬하고 있는 렌즈모양의 움직이지 않는 구름이다.
렌즈구름은 그 모양에 따라서 고적운(ACSL), 층적운(SCSL), 그리고 권적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정되고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산이나 산맥위로 흐를 때, 대규모의 정상파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정상에서 파가 내려가면서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간다면, 공기 중의 수증기들은 렌즈구름의 형태로 액화된다. 파의 기압골 쪽으로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후진할 때,
구름은 기화하며 증발기체로 돌아간다. 특정한 조건 아래, 렌즈구름의 긴 끈 형태는 정상 가까이에서 각각의 연속하는 파의 형태인 '파 구름'으로 만들어진다.
렌즈구름은 렌즈모양이나 매끄러운 받침접시 같은 모양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UFO로 오해받기도 한다. 밝은 색깔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무지개빛 효과라고 불리며 렌즈구름의 모서리 부분에 나타난다. 렌즈구름은 서유럽 쪽에 알프스 산맥 등지에 자주 생긴다.
9.셀프구름(Shelf Clouds)
구름 선반 모양으로 된 아치 구름 모양의 하나
10. 층적운(stratocumulus , 層積雲)
'Say Y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지게 먹어도 살빠지는 맛있는 한끼가 완성됩니다👍💯 (1) | 2023.09.09 |
---|---|
작은 토끼들..😊 (1) | 2023.09.08 |
공룡이 살아있다면 이런 모습일까? [세상에 존재하는 신기한 동물! 살아있는 공룡의 후예 '슈빌'] 신발부리황새는 쥬라기 공원에 바로 나온 것 같습니다😮 (1) | 2023.09.08 |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즐거운 저녁 보내세요! [저녁인사말 이미지 문자 -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1) | 2023.09.07 |
하루 푸쉬업 100개 그만하고 이 방법으로 한 달동안 해보세요! (1)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