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terface

한국 AI, 세계 몇 등?

728x90
반응형
SMALL

한국 AI, 세계 몇 등?

누아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 AI
세계 몇 등일까는 주제로 한번 다려
보려고 합니다 이제 한국도 AI
굉장히 잘하는 나라 중에 하나죠 저는
그렇게 생각하는데이 한국이 전
세계에서 뭐 미국도 있을 거고 중국도
있을 거고 여러 나라들 중에서
세계에서 몇 등 정도로 AI 잘할까
한번 여러 가지 기준들에 따라서
한국이 세계 몇 등 정도 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러 가지 자료들을 제가
좀 조사를 해 봤는데 그건 을 함께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얼마 전에
6월이었습니다 gvp 학회가
밴쿠버에서 열렸어요 저도 여기에
갔었는데요 학회 발표도 하고 여러
가지 발표도 듣고 했었는데 이게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 학회 면은
어 이게 h 인덱스라고 해 가지고
학회 또는 저널지 또는 특정 연구자의
연구 전투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되게 많이 쓰이는 점수인데이 점수가
높을수록 영향력이 많 는 그런 학회다
할 수 있는데요 구글 스칼라의 통계
항목에 들어가 보시면은이 cvpr이
사이언스란 딱 이점 차이로 전
세계에서 4위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분야에 따라서 이런 h 인덱스 값의
차이가 있어요 그래서 완벽한 비교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이 정도 학회에
한국에서 나온 논문이 많이
발표된다라고 하면은 AI 잘하는
국가다 볼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최근에 어
12에 갔을 때 에도 뭐 굉장히
한국인들 많이 만납니다 그래서 이번
10p 2023 밴쿠버에서 얼마만큼의
한국인이 참여를 했는가가 궁금했어요
근데 자료가 있더라고요이 자료는 이제
밴쿠버에서 열린 최근 cvp 각
나라별로 몇 명의 사람들이 등록을
했는가에 대한 정보 그래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미국에서
279명으로 제일 많은 사람들이
등록을 했다라는 걸 알 수 있고요
그리고 그다음이 사실 중국이 중국은
지금 인구가 거의 14억이 정도 되는
나라기 때문에 많이 온게 그렇게
놀랍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워낙도 AI
분야에 있어서 연구를 활발히 하는
나라다 보니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참여를 해 줬는데 신기한 사실은 이제
사우스 코리아 한국에서 815명 여기
보시면은 3이네요 미국 중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이 학회에 참석을
했습니다이 학회가 어디서 열렸다
그랬죠 벤쿠버 캐나다에서 열렸어요
그래서 캐나다 사람들이 몇 명 왔냐
캐나다 사람들은 672명 석을
했습니다 물론 이제 캐나다 인구가
한국 인구보다 작은 건 사실이에요
캐나다가 한 3,800만 명 정도
되거든요 근데 뭐 한국이랑 큰 차이는
아니죠 사실 한국이 뭐 한 5천만 명
정도 된다고 하면은 뭐 캐나다랑 큰
차이는 아닌데 캐나다는 심지어 본국이
아아 홈그라운드인 한국 사람들이
캐나다에서 열린 학회에 캐나다
사람들보다 많이 왔다라는 얘기는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이 학회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AI 관심을 가지고 있구나 이렇게 볼
수도 있겠죠 근데이 참석자에이 학회에
논문을 발표하러 오신 분들도 있지만이
학회에 발표되는 논문을 보러 오신
분들도 있고요 그리고이 학회에서
이런저런 유능한 사람들이 많이 오니까
회사를 홍보하러 오신 분들도 있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참석을 하신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참석자만
가지고이 나라에서 cvpr 급의
논문을 많이 썼다라고 얘기하기에는 좀
어폐가 있어요 그래서 한번 한국에서
cvpr 논문을 얼마나 냈는가 를
보고 싶었어요 근데 이게 사실
논문이란게 좀 다국적 이잖아요
1저자가 뭐 한국이고 2 저자가 미국
사람이고 3 저자가 중국 사람이 이럴
수 있는 거 아니겠어요 그리고 사실
논문에 이름을 올릴 때 저는 뭐
한국인입니다 이렇게 뭐 쓰지도 않아요
사실 그래서 그 논문의 저자 정보만
가지고이 저자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
특정 짓기가 되게 어려워요 아무튼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서 발표를
한 저자들의 국적을 통계를 내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2023년 자료는 는 없고
2021년 지표를 가지고 와 봤어요
cvpr 2021년에 발표된 논문의
총 저자들이 이거는 저자만 집계를
한게 아니라 총 저자들의 국적의
분포를 봤더니 어 1등은 중국
사람들이었어요 그리고 2등은 미국
이고요 3등으로 한국 사람들이 논문을
많이 냈습니다 사실 뭐 앞에 어텐디드
3등이었다 한국에서 피에 논문 을 낸
저자 수가 가장 많더라라고 얘기를 할
수 있겠죠 여기 리메이닝 그
기타예금 아니냐 이러시면 안 돼요
그래서 3등으로 냈는데 지금 좀
불편한게 있어요 42% 23.7% 딱
숫자가 있는데 이게 아쉽게도 딱
3등부터 숫자가 없어요 그래서 조금
아쉬워 가지고이 바로 전년도
2020년도 자료는 있는지 살펴봤어요
이거는 이제 유튜브 화면을 캡처한거다
보니까 좀 화실이 안 좋습니다 그래서
제가 좀 읽어 드리면 일단 1등은
중국이고 비슷하죠 사실 2등은
미국이고 3등이 여기 지금 스시이예요
그니까 모르겠다 이거죠 애들을
제외하면은 여기 초록색 이게 한국이고
3.8%고 돼 있습니다 3.8% 아는
작은 수치이긴 하지만이 전체에서 봤을
때 중국이랑 미국은 사실 인구가 되게
많잖아요 중국은 14억명 정도 되고요
그리고 미국은 3.3억 명 정도 돼요
그래서이 억소리 나는 인구수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과 함께이 나라들 아래
당당히 3위로 한국에서 논문을 많이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 인구가
오늘 조사해 본 바로 5,17
4만으로 나오는데 한번 이걸 나눠
봤어요 그래서 뭔가 1등을 하고
싶잖아요 1등을 하고 싶어서 인구수를
나눠 보자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인구수를 나누면 한국이
중국하고 미국에 비해서 1인당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굉장히 높은
편에 속하지만 아쉽게도 1등은
아니에요이 밑에 한국보다 인구가 적은
나라가 몇 개 있어요 예를 들면은
여기 보면 싱가폴도 있죠 싱가폴은
인구수가 엄청 적죠 싱가폴은이 거의
도시 하나 정도 크기의 나라기 때문에
인구수가 엄청 적다 보니까 한국이
1등은 아니었더라 이런 그래서 좀
아쉽지만 아무튼간에 주목할 만한 거는
한국이 절대 다른 나라들에 뒤지지
않는 인구수 대비로 굉장히 우수한
AI 연구력을 가지고 있다라고 볼
수는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얼마
전에 스라고 하는 기관에서 집계를 한
근 로벌 AI 인덱스라고 하는
리포트를 제가 본 적이 있어요 그래서
올해까지 총 4년간 네번 세계 각국의
AI 지표들을 다양하게 분석을 해
가지고 리포트를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이 리포트를 한번 가지고
와봤어요 이게 이제 오른쪽이
100점으로 1등이고 왼쪽이 0점으로
등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총 62개
국을 가지고 분석을 했고요 세 가지
지표를 가지고 평가를 했다고 해요
임플리멘테이션
이노베이션 인베스트먼트이 세 가지가
각각 각 구체적으로 뭔지는 뒤에서
설명을 드리고 한번이 사이트 들어가서
한번 봐 보도록 할게요이 사이트가
굉장히 이쁘게 잘 꾸며져 있더라고요
글로벌 AI 인덱스라고 하는 토토스
홈페이지 그요 62개국 대상으로이
나라들이 AI 전 세계에서 어느
정도로 잘하고 있는지를 평가를 해서
랭킹을 매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시면은 이렇게 총 62개국이
0점부터 100점 사이에 위치를 하게
되고요 제일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는
나라가 이제 미국이고이 미국 다음으로
이제 중국이 차지를 하고 있고요이
중국 다음이 어딜까 좀 궁금했는데
중국 다음은 싱가포 이더라고요
신기하게 그래서 싱가폴이 3위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은 어디 있냐 여기
여기 유나이티드 킹덤 영국 다음으로
살짝 옆으로가 보면은 캐나다 있고
사우스 코리아가 여기 있어요 그래서
사우스 코리아가 40점으로 사우스
코리아 옆에 보면 이스라엘이 있거든요
이스라엘과 함께 공동 6위를 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인 지표는 한국이 전
세계 공동 유기를 하고 있다라고 여기
여기선 얘기를 하고 있어요 그래서 뭐
지역별로 살펴보면은 이제 놀스
아메리카에서는 당연히 미국이 1등이고
그리고 보시면은 이제 중국이 2위를
하고 있고요 아시아에선 1위죠
그다음으로 3위인 싱가폴이 또
아시아에 나오고 유럽에서 영국이
그다음을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이 이제
뭐 캐나다 그리고 한국이랑 이스라엘을
여기 딱 겹쳐 가지고 있는데 그다음에
사실 이제 중요한게 추세거든요 사실
고등학교 때도 우리 수시 자기 속에서
이런 거 내 보면은 아시겠지만 이제
그런 거 중 중요하잖아요 3년 내내
성적이 좋았던 것도 좋지만 1학년
2학년 3학년 이렇게 올라가면서 점점
성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게 되게
중요한 경우도 많잖아요 그래서
보시면은 그런 추세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국가가 싱가포이에요
싱가폴이 지금 원래 2020년에
10위였다 2023년에 집게 된
지표로 3위까지 올라갔고요 그리고
그다음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나라가 하나 더 있어요 딱 하나 더
있는데 어딘지 보이시나요 여기
보시면은 한국이 2020년에 8
이었다가 꾸준히 8 7 6 하면서 한
칸씩 올라가고 있죠 그러면 아마 이제
한 5년 뒤에는 1등이 돼 있지
않을까 싶은데 한국도 그래도 꾸준히
증가를 하고 있는 추세다 우리 한국의
미래가 나쁘지만은 않다 물론 이미
유기인 것도 정말 대단하지만 앞으로도
전망을 기대해 볼 수 있다라고 할
만한 부분인 거 같아요 한국이 잘하는
것까진 좋은데 그래서 아까 전에
분명히 임플리멘테이션 이노베이션
인베스트먼트이 세 가지를 가지고
평가를 했다고 했는데 정확히 그래서
어떤 어떤 구체적인 것들을 보고
평가를 했느냐가 궁금하실 수 있어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얘네가 뭘 가지고
평가했는지 여기서 이렇게 PDF
Pro 제공을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얘를 읽어봤는데 보시면은 아까 세
가지를 조금 더 세분하면요 일곱 가지
정도로 얘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각각 일곱 가지를 보면은 탤런트 이제
개개인의 능력이죠 그 나라에 얼마나
유능한 AI 인재가 많은가 이걸
가지고 이제 평가를 한 점수이고
그리고 그다음에 인프라스트럭처
그러니까 그 나라에 클라우드나 GPU
슈퍼 컴퓨터 이런게 얼마나 많은지
이런 장비들이 많아야 사실 실험도
많이 해보고 더 성능 좋은 AI 많이
생산해 내고 그런 AI 서비스하고 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이런 것도
중요하죠 사실 그리고 제 오퍼레
인바이런먼트 아고 해 가지고 사회적
인식 다양성 수치도 여기 들어가고요
그래서 사회적으로 사람들이 얼마나
AI 신뢰하고 있는지 그리고 뭐 AI
적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지 이런 것도 중요할 수 있고요
그리고 다양성 다양성은 이제 특정
인종이나 특정 성별의 연구자나 AI
관련된 사회적인 분위기를 얘기를 하고
싶은 거죠 그리고 리치 그 나라에서
아까 전에 저희 cpr 봤었아요 그
나라에서 얼마나 영향력 있는 논문이
많이 나오는지 그리고 그 논문들이
얼마나 인용 되는지 그리고 그런
논문을 많이내는 연구자는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디먼 리서치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는 논문 말고 이런 특허 같은
것도 많이 낼 수 있잖아요 그래서 각
기업들이 얼마나 영향력 있는 특허를
많이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gover
지라고 해가지고 정부 투자 정부에서
얼마나 AI 친화적으로 AI 하고
있는 기업에 많이 투자를 하고 있는지
그리고 AI 잘 성장할 만한 정책은
얼마나 많이 책정이 돼 있는지 이런
것들을 보는 거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커머셜 벤처스 해 가지고 정부에서도
투자를 하지만 사실 기업에서도 투자를
하잖아요 그래서 뭐 벤처에서 이제
펀딩을 할 수도 있는 거고 아니면은
그렇게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들이
얼마나 맞는지 스타트업들이 많다는 건
아무래도 그 나라에 있는 기업이나
벤처들이 투자를 그만큼 많이 한다라고
생각을 할 수 있겠죠 아니면은 뭐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이런 AI
기업들도 얼마나 많은지를 가지고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이 일곱
가지를 가지고 점수를 매겼다고 하고요
그래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사각형을
그릴 수 있어요 보면은 영국 캐나다
뭐 미국 중국 싱가포 이스라엘 이렇게
여섯 개 나라가 있는데 특징적인
것들이 보면은 미국은 전체적으로 정말
좋아요 특히 커머셜 쪽 이쪽은 정말
상당 상당한 수준이죠 그래서 커머셜
리치 디먼 텔트 인프라스트럭처 이게이
다섯 개가 61점으로 상당히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이제
오퍼레이팅 먼가 상대적으로 좀 안
좋은 수치를 가지고 있어요 여기 좀
살짝 들어가 있는 부분이 오퍼레이팅
인인데 아까 말씀드렸듯이 사회적인
인식 AI 대한 신뢰 이런게
사회적으로 그렇게 분위기가 좋은
상황은 아니다라고 여기선 얘기를 하고
있고요 그 미국이랑 되게 비슷한
추세를 보이긴 하지만 좀
인프라스트럭처 이런 쪽으로 전체적으로
조금 살짝 미국보다는 덜한 분위기를
보이는게 영국이 그리고 캐나다 같은
경우는 다 전체적으로 고르기는 분포해
있죠 인프라스트럭처가 살짝 아쉬운 거
빼고는 그리고 이제 중국 같은 경우는
다른 거는 정말 좋아요 특히 막
리서치 이런 거는 미국에 준하는
수준까지 리서치 뭐 투자나 이런 쪽은
정말 좋은데 이제 살짝 안 좋은게
다른 나라보다 좋은 거긴 하지만
개개인의 영향 쪽에서 좀 살짝 낮은
점수를 받았죠 그 이스라엘이 살짝
특이한게 이스라엘은 다 괜찮은데 국가
정책 측면에서 15점이 아는 굉장히
낮은 점수를 받았어요 그리고 여기
이제 다른 나라들이 검색해 볼 수
있는데 제일 궁금한게 어디겠어요 이제
한국이 있죠 사우스 코리아 사우스
코리아가이 위에 다른 나라들과 확연히
다른게 있다면은 이게 뭐 하나 딱
부족하다라고 말할 만한 부분은 없는
거 같아요 전체적으로 좀 고르게 잘
분포가 돼 있죠 절대적인 수치로만
따지면 미국에 비해서 안 좋은
부분들도 있지만 예를 들어서 뭐
오퍼레이팅 인바이런먼트 같은 경우
51점 으로 미국 34점 다 상당히
좋은 수치를 가지고 있고요 우리나라
분들이 AI 대해서 그래도 인식이나
이런게 굉장히 괜찮다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특히 이런 기업에서 내고
있는 특허나 이런 쪽으로는 디벨럽먼트
59점으로 굉장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죠 지금 60점 가까이
되면 정말 좋은 수치요 그리고 제가
좀 특이한 약간 극단적으로 벌어지는
특이한 나라들을 몇 개 준비하면서
봤었는데 예를 들어 인도 같은 경우는
인도 어디죠 인도 인도 같은 경
이렇게 생겼어요 그러니까 다 괜찮은데
인프라스트럭처가 거의 제로에 지금
가까운 수치죠 그래서 되게 신기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 같은 경우는 또
특이하게 탤런트는 점이고요 심지어
탤런트가 좀 굉장히 부족한 반면이
버먼 스지가 미국보다도 좋아요 아까
전에 미국의 61점 있게 지금 다섯
개나 있어 가지고 엄청 좋은 수치였다
그 정도의 점수를 거먼 스지가
받았어요 지금 여기 있는 어떤
나라들보다 지금 거먼 스지가 굉장히
좋고요 중국도 지금 보면 59점 있데
여기 61점 이죠 그래서 굉장히 정부
차원에서 투자를 많이 하고 있다이
어떻게 보면은 이게 이전 수치까지 볼
수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최근에
정부에서 많이 투자를 하고 있다 또
이렇게 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그래서이 투자를 통해 다른 수치들이
얼마나 또 따라서 늘어날 수 있는지
이런 것도 이제 앞으로 지켜볼 만한
관전 포인트겠죠 그리고 한국인이면 또
여기 중국 있으니까 옆나라 일본 안
볼 수 없겠죠 일본 한번 봅시다 일본
같은 경우도 한국이랑 굉장히 비슷해요
한국이랑 비슷하게 전체적으로 고른
다각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좀 오른쪽으로 살짝 취어 쳐져 있는
느낌이 있죠 그래서 왼쪽에 있는게
이제 버먼 스트레지 그 커머셜
기업에서의 투자가 살짝 부족한
느낌이다라고 보실 수 있을 것 같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나 더 보여
드리고 싶은게 스위스 여기 있네요
스위스 같은 경우는 이스라엘이
비슷해요 전체적으로 기업이나 이런
데서는 투자를 굉장히 활발히 하고
있는데 5.5 점도 있네요 정부
투자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아까
전에 어디였죠 아까 전에 인도에서
인도 보면은 인프라스트럭처가 굉장히
낮은 극단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스위스 같은 경우는 정부
정책이나 투자 측면에서 굉장히 낮은
점수를 받았다라는 모습을 보여주고요
그래서 뭐 다른 나라도 있으니까 여기
기사 링크 올려 드릴테니까 오셔서
확인을 해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런
수치들의 좀 더 구체적인 수치를
이렇게 순위로 나타낸 결과가 있어요
그래서이 각 수치별 RO 엑셀에서
정렬하다이 각각 볼 수 있는데 네
예를 들면은 탤런트 부분에서는 이제
미국이 1등을 했고 웬만한 건 다
미국이 1등이니까 2등이 어딘지 한번
볼까요 탤런트 같은 경우는 이제
이등이 인도네 인도 독일 싱가포
순으로 이렇게 나오고 있고요 그리고
인프라스트럭처 인프라스트럭처 같은
경우는 미국이 1등이고 중국이 2등을
차지하고 있네요 한국 같은 경우는
7등을 하고 있고요 룩셈부르크가 오늘
처음 등장한 나라인데 6등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퍼레이팅 바먼트
이게 아까 말씀드린 나라에서의 어떤
AI 이런 기술들에 대한 인식인데
덴마크 스웨덴 중국도 있네요 그런
유럽쪽 나라들이 대부분 올라와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고요 그리고 리서치
연구적 논문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가
아까 전에 분명히 피에 한국인이
논문을 얼마나 많이 내는가 이런 것도
봤었는데 아마 이런 거는 좀 인구수
대비가 안 돼 있는 측면도 있을 것
같고요 근데 인구수 대비라고 하기에는
싱가폴이 또 3등을 하고 있 있어요
싱가폴은 인구수도 적으면서 여기 있는
걸 보면은 연구 쪽으로도 분발을 좀
해야 되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아무튼
미국 중국 싱가포 이렇게 그다음에
스위스 순으로 이렇게 나오고 있고요
그리고 디먼 같은 경우는 기업들이
얼마나 좋은 퍼포먼스를 내고 있고
얼마나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런 건데 여기서 제 한국이 당당히
3위에 올라 있습니다 그리고 정부
정책 같은 경우는 아까 보셨죠 사우디
아라비아가 엄청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그리고 독일 중국
스페인 있고요 캐나다 있고 그다음이
한국이에요 사실 뭐 다른 부분들에
비하면 한국이 그래도 정부 정책이나
이런 측면에 비해서는이 리포트에
따르면 괜찮은 편이다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셜 인베스트먼트 그
나라에 있는 여러 벤처나 기업들이
얼마나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가 역시
미국이 1등을 하고 있고요 그리고
3등에 이스라엘이 찍혔네요 그래서
이제 전체적으로 봤을 때 미국 중국
싱가폴 영국 캐나다 다음으로 한국이
6기를 차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되게 재밌는 플레이그라운드가 있어
가지고 같이 공유를 드리고 싶은데
이것도 그냥 동일한 리포트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에요 뭐냐면은이 X 축 y
축을 정할 수 있어요 심지어
4차원으로 볼 수 있어요 이게 x
축이 y 축 볼 수 있고요이 원의
사이즈로도 수치를 나타낼 수 있고
심지어 컬러로도
이렇게 나타낼 수 있어서 총 4차원의
정보 를 한 그래프 안에 나타낼 수
있는데이 축으로 설정할 수 있는
부분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아요 심지어이
축들을 보면은 아까 전에 뭐 커머셜
있었고요 뭐 버먼 스지 이런 것도
있었고 이런 것들이 어떤 세부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지도 볼 수 있어요
그래서 되게 재밌었던 것들을 몇 개
제가 한번 보여 드리고 마치려고
하는데 첫 번째로 보여 드리고
싶었던게이 탤런트 어떻게 측정을
했는지가 되게 궁금했거든요 그래서
밑으로 쭉 내려봤어요 탤런트 탤런트
나올 때까지 쭉 내리다 보면은 뭐가
있냐면 이런게 있어요 스 오플로
Question rel to AI
per cap 그러니까 인구수 대비
스택 오버플로우에 얼마나 질문을 많이
하는가 질문 많이 하는 거 질문이니
답변도 있겠죠 인구수 대비 얼마나
많이 스택 오버플로우에 답변을 하는가
그래서 일단 뭐 x 축은 질문으로
하고요 그리고 y 축은 답변으로 한번
볼게요 여기 보시면은 이스라엘이
굉장히 높게 나오고요 이이 y 축은
이제 답변 개 수고요 그리고 이제 x
축은 질문 많이한 수인데 질문은
상대적으로 싱가폴이 굉장히 많이 하는
편인 거 같고요 그리고 답변은이
스위스랑 이스라엘에서 굉장히 많이
하는 편이네요 스위스랑 이스라엘
사람들이 스택 오버플로우 답변을 많이
하고 있더라 그래서 스택 오버플로우의
AI 관련된 질문을 찾아봤을 때
답변을 보면은 아 스위스랑
이스라엘에서 노력을 많이 하고 있구나
이렇게 보면 되고요 한국은 어디는 가
한번 볼까요 사실 뭐는 X 축 선으로
해가지고이 아래 섹션에 있으면은
질문을 좀 더 많이 하는 거고이 위면
답변을 좀 더 많이 하는 걸로 볼 수
있겠죠 상대적으로 봤을 때 그래서
한국을 이렇게 찾아볼 수 있어요
서스코 여기 있네요 질문도 답변도 안
하는데 질문을 살짝 더 많이 하는
편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렇고요 사실 펄
캐피타여 가지고 싱가포 같은 경우는
인구수가 적어 가지고 그냥 살짝만
뭔가 올라와도 굉장히 점수를 많이 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인구수
고려하지 않고도 확인을 해 볼 수
있어요 이렇게 인구수를 고려하지 않고
답변 이렇게 보면은 인구수를 고려하지
않고 그냥 진짜 인구수가 많으면은
당연히 그 글이 많 뭐 게시글 같은게
많겠죠 그런 거를 봤을 때 인도가
갑자기 많이 떠오르고요 그리고
질문이든 답변이 미국에서 진짜 많이
하는 걸 볼 수 있어요 뭐 이런
재밌는 것들을 확인할 수 있고요
그리고 이번에는 연구 쪽 한번 봐
볼게요 연구 쪽 같은 경우는 뭐가
좋을까요 여기 리서치가 또 있는데 축
같은 경우는 AI 논문을 냈을 때
얼마나 인용을 전체적으로 그 나라에서
많이 받았는지를 축으로 한번 보고요
그리고 논문 개수로 한번 볼게요
그니까 AI 릴레이티드 논문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지 한번 볼게요 그러면은
이제 중국이 또 압도적으로 높죠
중국이 인구수가 많다 보니까 이런
거라서 한번 이걸 나눠보겠습니다
인구수로 나눠보겠습니다 인구수로 나눠
보면은 이게 참이 참 치트 킨게
인구수로 안 나누면 중국이나 미국이
나오고요 인구수로 나누면 싱가폴이
나옵니다 인구수로 나누면 드디어
한국이요 밑에 박혀 있다가 중간쯤으로
올라오네요 그래서 한국이 그래도
인구수 대비로는 연구는 그래도 어느
정도 할 줄 아는 나라구나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마지막으로 보고 싶었던게
operating 였어요 저는 사실이
오퍼레이팅 먼가 되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 나라에서
AI 대한인 식이나 이런 것들이 좋은
것도 사실 기술 혼자만 발전을 하는게
아니라이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서이
기술을 수혜할 소비자들이나이 기술을
이용할 이런저런 각 분야 계층의
사람들이 AI 친근하고 AI 활용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고 이런 얼리어
닥터들이 많은게 저는 되게 중요한
인프라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한번 퍼팅
먼트를 한번 보고 싶어요 전체
인구수에서 AI 신한 사람들의 비중
이런 건 괜찮을 것 같아요 인구수
영향도 안 받고 그리고 이런게 있어요
신뢰라는 다른데 AI 실보다 득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중인 거죠
AI 인간에게 해롭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어요 AI 모든
면에서 좋은 건 아니니까 AI 좋은
면이 나쁜 면보다 많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인데 그 사람들의 비유를
한번 이렇게 측정을 해 보면은 어
이러면은 전체적으로 조금 이쁜 모양이
나오는데이 사우스 코리아가 굉장히
위에 위치하게 돼요 그래서 우리나라가
이런 AI 대한 인식 특히 어떤 AI
실보다는 득이 많다라고 생각하는
한국인의 수가 전 세계 1등이죠 사실
전 세계 1등이다 볼 수 있어요 전
세계에서 한국 사람들이 가장 AI
실보다는 득이 많다라고 생각한다라고
있네요네 그래서 여기까지가 이제 AI
대한 전체적인 분석을 받고요 저도
보는 과정에서 납득이 좀 어려운
부분들도 좀 있었고요 사실 이런
부분을 왜 비중을 둬서 평가를 할까
이런 부분들도 있었고 하지만 그래도
제가 지금까지 봐왔던 자료들 중에서는
굉장히 다양한 방면으로 다양한
수치들을 조사를 해 가지고 점수화
시켜 놨다라는 거를 좀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뭔가 다들 공감해 주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한국 같은
경우에는 어떤 부분을 좀 계선을
하면은 괜찮을까 이런 것들에 대한
힌트는 충분히 됐다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 그래서 앞으로도이
토스에서 이런 지표들을 내년에도
조사를 해 가지고 발표를 할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발표에 있어서 한국의
지표가 앞으로 여러 방면으로 많이
개선이 돼 가지고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를 정말 리드하는 AI 강국이
됐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래서 그런 생각을 하면서 훈훈하게
한번 오늘 마무리를 해보도록 할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