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y와 AI 챗봇친구 만들기 보고서

생성형 인공지능 [클라우드의 개념을 알아봅시다.]

728x90
반응형
SMALL

생성형 인공지능


1. 개요2. 종류
2.1. 텍스트 인공지능
2.1.1. 소설형 인공지능

2.1.2. 대화형 인공지능

2.1.3. 인공지능 검색 엔진
2.2. 그림 인공지능 (Text to Image)

2.3. 음성 인공지능 (Text to Speech)

2.4. 비디오 인공지능 (Text to Video/3D)

2.5. 작곡 인공지능

2.6.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


1. 개요

Generative AI

이용자의 특정 요구에 따라 결과를 생성해내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데이터 원본을 통한 학습으로 소설, 시, 이미지, 비디오, 코딩, 미술 등 다양한 콘텐츠 생성에 이용된다. 한국에서는 2022년 Novel AI등, 그림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주목도가 높아졌으며, 해외에서는 미드저니, 챗GPT등 여러 모델을 잇달아 공개하면서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보통 딥러닝 인공지능은 학습 혹은 결과 출력 전 원본 자료를 배열 자료형 숫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딩 과정이 중요한데, 생성 AI의 경우 인공지능의 출력 데이터를 역으로 그림, 글 등의 원하는 형태로 변환시켜주는 디코딩 과정 또한 필요하다.

 

2. 종류

2.1. 텍스트 인공지능


2.1.1. 소설형 인공지능


NovelAI
AI 노벨리스트
일본에서 개발된 소설 작성 인공지능 사이트. NAI에 비해 소설 작성이 간편한 편이다.

 

2.1.2. 대화형 인공지능
자세한 내용은 대화형 인공지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3. 인공지능 검색 엔진
자세한 내용은 인공지능 검색 엔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그림 인공지능 (Text to Image)
자세한 내용은 그림 인공지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분류:그림 인공지능/소프트웨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음성 인공지능 (Text to Speech)
음성 합성 엔진
VALL-E
AI 커버

 

2.4. 비디오 인공지능 (Text to Video/3D)
Runway Gen-2
AI 스튜디오 페르소 : 이스트소프트 에서 만든 동영상 생성형 AI

 

2.5. 작곡 인공지능
이봄 : 광주과학기술원 제작.
AIVA

 

2.6.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
AlphaFold
ESMFold

 

클라우드(Cloud)란?

클라우드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이곳으로 문의주세요.
 
 

클라우드의 개념을 알아봅시다.

클라우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무엇인가요?

클라우드(Cloud)란,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는 무엇이 다른가요?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즉, 클라우드는 개념적인 측면에서의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제공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가트너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확장 가능하고 탄력적인 IT 지원 기능이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서비스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입니다.
[포레스터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사용량에 따라 지불하는 셀프서비스 방식으로 인터넷 표준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표준화된 기술 제공 기능(서비스, 소프트웨어 또는 인프라)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로는 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IaaS(Infra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란,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등과 같은 컴퓨팅 리소스(IT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구매/설치하는 대신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SW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클라우드 컴퓨팅 종류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가 있으며 각 구성 방식마다 클라우드 컴퓨팅 장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여기서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란,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클라우드 공급자가 제공하는 인프라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란,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 구축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터넷을 통한 접근이 아닌 내부망을 통해 접속하며, 기업이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합니다. 비교적 높은 보안성과 특정한 요구사항에 맞춤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란,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비즈니스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요구사항에 따라 각각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란, 둘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비즈니스에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혼합하여 최적의 비즈니스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클라우드 사업자의 유형이 있나요?

클라우드 사업자 유형으로는 크게 클라우드 기반으로 IT 인프라 및 SW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CSP, Cloud Service Provider)와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컨설팅, 전환/구축,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MSP, Managed Service Provider)로 나눌 수 있습니다.
CSP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플랫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이나 조직은 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반면 MSP는 기업이나 조직의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회사입니다. 기업이나 조직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최적화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위해 백업과 복원, 보안 감사 및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지원, 인프라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CSP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MSP는 이를 운영하며 기업이나 조직의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CSP 사업자인 동시에, 멀티 클라우드 간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MSP 사업자는 바로 삼성SDS입니다.

클라우드 장점을 알아볼까요?

필요한 만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므로, 기업이나 조직이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더욱 유연하고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서버 용량을 늘리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때 기존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분산 운영으로 가용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지리적인 재해나 기술적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의 가용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여러 대의 서버를 사용하고, 서버가 중단될 경우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전환되는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고성능 하드웨어와 최신 기술의 클라우드 및 보안 기술이 적용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고성능 하드웨어와 최신 기술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이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더 높은 성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보안과 업데이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최신 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서비스를 운영함으로써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안 및 업데이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필요성을 줄여줍니다.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는 것보다 경제적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존의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서버 및 네트워크 인프라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기업은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시스템 관리와 유지보수를 담당하며, 기업은 별도의 IT 인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리소스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자동화된 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시스템 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개발과 배포가 빨라지고 협업과 공유가 쉬워집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한 리소스를 쉽게 프로비저닝하고,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쉽게 협업하고, 문서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기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과 협업 능력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클라우드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볼까요?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입니다.

클라우드에서는 기업과 사용자의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정 산업이나 국가에서는 데이터 보호, 개인정보 보호 및 규제 준수와 관련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데이터가 외부 서버에 저장되므로 보안 및 개인정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및 정기적인 보안 검사를 통해 보안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확인하고, 기업의 보안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 평가하도록 합니다.

데이터 이전 및 호환성입니다.

기존 시스템에서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이전 전에 호환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 변환 도구를 사용하여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마이그레이션 지원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 백업 및 복구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서버 문제로 인해 서비스 중단이나 데이터 손실 또는 시스템 장애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 중단에 대비하여 다중 클라우드 전략을 사용하거나, 로컬 인프라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전략을 수립하고, 정기적으로 백업을 수행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복구 옵션과 서비스를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다중 클라우드 전략을 사용하여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성능 및 확장성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능이 기업의 요구와 일치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선 서비스 품질, 가격, 지원 등을 고려하여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비교 분석을 통해 기업의 요구사항과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를 선택합니다. 서비스 공급자의 성능 벤치마크 및 확장성 옵션을 확인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성능 이슈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기업의 성장과 함께 쉽게 확장될 수 있는지도 평가하고 유연한 계약 조건과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해야 합니다.

관리 운영 및 공급자 의존 문제입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 및 인력 자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원들의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거나, 클라우드 관리를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외부 업체와 협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면, 해당 공급자의 정책 변경이나 가격 변동에 취약해집니다. 따라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 및 API를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기업이나 조직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전에, 위의 고려 사항과 보안 및 데이터 이전 등의 문제를 꼼꼼히 검토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업을 잘 알고 어려운 클라우드를 쉽게 풀어낼 수 있는 유일한 파트너인 삼성SDS의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amsung Cloud Platform, SCP)을 만나보세요!

언제 어디서나 마음대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술 형상 이미지

도서 클라우드 x 보안 실무 가이드를 저술한 삼성SDS 황치하 Senior Engineer입니다. 저는 삼성SDS에서 보안점검 업무를 담당하며, 늘 새로운 기술과 영역에 대해 취약점을 찾고 보안 점검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IT 기술 발달 속도가 빨라지면서 보안에 대한 중요성도 그만큼 커지고 있는데요. 제가 업무를 통해 쌓은 지식과 고민을 삼성SDS 뉴스룸을 통해 여러분과 나누고자 연재를 시작합니다. 클라우드와 보안을 주제로 연재될 기사에 대해 많은 관심 부탁 드리며, 이번 기사에서는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클라우드는 무엇인가?

우리가 알다시피 'Cloud'는 구름이라는 의미를 가진 영어 단어입니다. 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이 서로 연결돼 이루어진 큰 덩어리입니다. 여기 저기 바람에 따라 흘러 다니며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하기도 하죠.

IT 업계에서 말하는 ‘클라우드’도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0년대 구글, 네이버와 같은 인터넷 기업들이 방대한 사용자 접속을 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클라우드라는 개념이 사용됐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클라우드를 친숙하게 사용하게 됐습니다. 사진을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브라우저로 여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문서를 저장할 수 있게 됐습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트렌드에 따라 2021년에는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 등 클라우드 산업을 양성하고 있고, 기업들도 기존 물리적인 서버에 구축하던 서비스들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Netflix나 facebook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팔방미인처럼 다재다능한 클라우드의 특징

클라우드는 크게 4가지 대표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용이성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면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PC나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자료 공유와 업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반면 정보가 인터넷상에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나 중요 데이터에 대한 내용 유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web accessibilty

클라우드의 두 번째 특징은 유연성입니다. 클라우드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환경에 비해 확장과 축소가 가능하고, 성능을 높이거나 낮추기가 쉽습니다. 특히 사용자 증감이 심한 서비스는 클라우드가 서비스를 위한 최상의 환경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화상 회의용 프로그램인 Zoom이 물리적인 서버로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가정해봅시다. COVID-19 확산 이후 재택근무 증가, 영상 회의 진행 등으로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만약 Zoom이 물리적인 서버로 운영됐다면 서비스 확장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됐을 겁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 증감에 따라 필요한 만큼 서비스 규모를 늘리고 줄일 수 있습니다.

스케일 아웃, 스케일업 형상 이미지

세 번째 특징은 주문형 셀프서비스입니다. 기업 내에서 서버나 네트워크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공간부터 전원, 설치 위치 등 다양한 고려 사항과 승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하드웨어 발주부터 입고까지 몇 주의 시간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서버나 네트워크 관리자와 직접적으로 협의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클라우드 관리 화면을 통해 서버와 네트워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직접 구성할 수 있습니다. 즉, 빠르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 온라인으로 바로 구성하고 사용이 불필요할 때는 시스템을 중지시키거나 폐기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특징은 사용량 기반 과금제입니다.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유지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많은 기회비용이 발생하기도 하죠.

하지만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사용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마치 집에서 전기나 가스, 수도를 사용하고 매월 요금을 내는 것과 유사합니다. 개인이나 스타트업 기업에서는 최소한의 초기 투자비용으로 작은 규모의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고, 모든 기업은 기회비용으로 발생되는 투자에 대한 위험 부담을 줄여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계산기 사용하는 이미지

지금까지 살펴본 네 가지 특징 외에도 클라우드는 다재다능한 팔방미인처럼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배치와 서비스 모델에 따른 클라우드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